반응형

· BitLocker(비트로커, 비트라커)란?

드라이브를 보호하기 위해 드라이브를 암호화하여 파일 및 폴더에 무단으로 액세스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으로 48자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 

 

· BitLocker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

메인보드를 교체했을 때

 

 

※ 주의사항

·BitLocker 입력창에서 이 드라이브 건너뛰기는 절대 누르시면 안 됩니다.

Why? 기존 데이터를 전부 날릴 수가 있습니다.

 

·BitLocker 번호는 절대 단 한 글자라도 틀리게 입력해서 안 됩니다.

 

·BitLocker 번호 입력 후, 바탕 화면까지 정상적으로 떳다면 반드시 BitLocker를 끄셔야 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부팅시마다 BitLocker 입력창이 뜨게 됩니다. BitLocker를 끄기를 하면 상태 막대기가 올라가는데 진행이 거의 다 끝나갈 때쯤 컴퓨터 전원을 끄시면 재부팅시 BitLocker 입력창이 다시 발생하지 않지만, 진행이 얼마 안 된 상태에서는 BitLocker 입력창이 다시 뜰 수도 있습니다.

(BitLocker 끄는 방법 : 제어판 → 보기 기준 : 큰 아이콘 → BitLocker 드라이브 암호화 → BitLocker 끄기)

 

 

[선행동작]

·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ID와 비번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.

·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Microsoft Authenticator 어플 설치 → Microsoft 계정을 등록합니다.

 

 

[BitLocker를 찾는 방법]

1. 여기클릭 → 마소의 ID를 입력한 후 → 다음을 클릭합니다.

 

 

2. 마소의 비번을 입력한 후 → 로그인을 합니다.

 

 

3. 아래의 페이가 뜨면, Authenticator 어플 실행 → Microsoft 계정 → 일회용 암호 코드의 8자리 숫자를 아래의 코드 입력창에 똑같이 입력  확인을 클릭합니다.

 

 

4. 다시 로그인하는 게 귀찮아서, 저는 로그인 상태 유지에 를 선택했습니다.

 

 

5. 복구키라고 적혀 있는 48자의 숫자로 된 키가 BitLocker 번호입니다.

반응형
어제 방문자수 :
오늘 방문자수 :
전체 방문자수 :